728x90
'차단된 콘텐츠 허용' 자동으로 허용하기
이 포스트는 이전 블로그에서 이전된 포스트입니다.

 

오프라인에서 작성한 HTML 문서등을 오픈할때 javascript 등이 있으면 위와 같이 '차단된 콘텐츠 허용'이 필요하다는 알림이 출력된다.

 


이는 Mark of the Web (MOTW)라 불리는 기능을 통해 해결가능하다.


알람 메시지를 신경쓰지 않고, 열때마다 항상 자동으로 허용되게 하려면 해당 소스코드 상단에 아래 두번째 행의 내용을 추가한다.


<!DOCTYPE ...생략> 다음 행에 <!-- saved from url=(0013)about:internet --> 추가

 

(예제)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생략>         
<!-- saved from url=(0013)about:internet -->    //이 행을 추가합니다.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생략
</head>
<body>
...생략
</body>

 

이후 해당 문서를 로컬 웹에서 열어도 차단된 콘텐츠 허용 메시지 없이 자동으로 허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728x90
728x90
MFC 특정 Edit Control만 업데이트(UpdateData())하기 (하나의 에디트 컨트롤만 업데이트)

 

이 포스트는 이전 블로그에서 이전된 포스트입니다.

 

방법먼저 말씀드리자면, 업데이트를 수행할 버튼 등에서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CDataExchange dx(this, FALSE);
DDX_Text(&dx, IDC_EDIT2, m_str2);

 

1행의  CDataExchange dx(this, FALSE);  에서 FALSE위치에 UpdateData(TRUE)인지 UpdateData(FALSE)인지 지정가능합니다.

 

2행의  DDX_Text(&dx, IDC_EDIT2, m_str2);  에서는 IDC_Edit2는 업데이트를 수행할 에디트 컨트롤의 ID 이며,

 m_str2는 해당 에디트 컨트롤의 멤버 변수로 지정되었습니다.

 - DDX_Text는 변수(CString, int 등)을 컨트롤에 연결시키는 기능을 하는 함수입니다.

 

 

반응형

 

추가적으로 체크박스는 특정 체크박스만 받아오기 위해 DDX_Text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3번째 인자는 체크박스의 F/T를 받는 것이 아니라 Caption을 받음..)

따라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체크박스의 상태만 받아오면 됩니다.

BOOL test = IsDlgButtonChecked(IDC_CHECK_BOX);

위처럼 수행하면 test 변수에 FALSE나 TRUE값이 저장되니 이것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이야기하는 남자입니다.

 

오늘은 가정용 채굴기를 제작하기 전에 먼저 확인해봐야 할 전기요금 계산에 대한 정보를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일반적으로 주택용(고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아주 오래된 아파트 등의 경우 저압이기도 한데, 관리사무소에 문의하시면 알려주실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주택용(고압)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압과 고압은 구간별로 전기세가 조금 다릅니다. (고압이 조금 더 저렴)

 

 

 

# 전기요금 계산 방법

 

 

1. 먼저 그래픽카드 소모 전력을 확인합니다.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고,

지금 채굴을 하고 있다면 직접 확인하셔도 됩니다.

GPU profitability ranking - WhatToMine

 

GPU profitability ranking - WhatToMine

114.00 Mh/s Ethash · 320W

whattomine.com

 

일단 저희는 RX 6600 XT 셋팅 후 전력인 60W 전력을 기준으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30 해시 전후 성능)

단, 기본적으로 2way는 만들 것을 고려하여 60 * 2 = 120W로 계산

 

그래픽카드 2개 전력량 120W

 

 

2. 그래픽카드 + 그외 부품(CPU 등)으로 채굴PC 총 전력량을 확인합니다.

 

그래픽카드 60W * 2개 + 그외 부품 100W = 220W

 

채굴PC 전력 계산 모의로 계산하려면 아래 사이트 참고하세요.

https://outervision.com/power-supply-calculator

 

Power Supply Calculator - PSU Calculator | OuterVision

Power Supply Calculator - Select computer parts and our online PSU calculator will calculate the required power supply wattage and amperage for your PC.

outervision.com

 

채굴PC 전력량 220W

 

 

3. 한달 전력량으로 환산합니다.

 

220 * 24 * 31 = 164kWh

(위에서 나온 전력량 * 24시간 * 31일)

 

아래에서 계산도 가능합니다.

Enter power in watts에 채굴 PC 전력량 넣고,

Enter time in hours에 한달 총 시간 (24시간 * 31일) 744를 넣습니다.

https://www.rapidtables.com/calc/electric/watt-to-kwh-calculator.html

 

Watts to kWh conversion calculator

 

www.rapidtables.com

 

채굴 PC 한달 전력량 164kWh

 

반응형

 

4. 최종 kWh에 가정에서 사용하는 한달 전력 량을 더합니다.

 

1인 가구 아파트 기준 150kWh 정도 사용한다고 잡고,

164 + 150 = 314kWh

 

한전 계산기에 입력해보면 314kWh 기준, 약 3만 7천원 정도가 나오네요.

https://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J/A/CYJAPP000NFL.jsp#

 

- 전기요금계산기 | KEPCO -

계약 종별에 따른 조건을 선택하신 후 요금계산 버튼을 누르시면 상세계산내역을 보실 수 있습니다.

cyber.kepco.co.kr

 

314kWh(채굴PC+가구전력) 기준, 한달 37,000원 정도

 

 

5. 여기서 다시 기존에 가정에서 사용하던 전기 요금을 빼줍니다.

 

150W를 원래 전기세로 지불했다면 11,000원 정도

즉, 채굴만을 위해서 한달에 27,000원(38,000 - 11,000) 정도를 전기세로 지불해야 하는 것 입니다. 

 

따라서 한달 채굴한 가상화폐가 적어도 27,000원의 가치는 넘어야 적자를 보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달 최소 27,000원 이상의 가상화폐를 채굴해야함

 


여기까지 인데요.. 저희가 하나 고려하지 않은 것이 있습니다.

바로 채굴 장비를 구입하는데 지불한 비용입니다.

 

6. 필요하다면 여기에 원금 회수 금액을 분배해줍니다.

 

이 계산법에서 빠진것은 바로 채굴PC 제작을 위한 장비 비용입니다.

이를 회수 기간으로 나누어 매달 분배해줘야 할 것입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가정용 채굴기 전기세, 가정용채굴기 전기세, 채굴기 전력량, 가정용채굴기 전력량, 채굴기 전기세 계산, 채굴 전기세, 채굴기 전력량 계산, 가정용 채굴기 전기 요금, 전기요금 계산, 한전 계산, 이더리움 채굴, 비트코인 채굴, 코인 채굴, 코인 채굴비용, 채굴 전기세, 가정용 전기, 고압 전기, 저압 전기, 가상화폐, 가상화폐 채굴, 블록체인

728x90
728x90
(C/C++) 현재시간 출력하는 예제 소스
이 포스트는 이전 블로그에서 이전된 포스트입니다.

 

코딩을 하다보면 현재시간을 출력하거나 소스에서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아래와 같은 소스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소스 자체에 설명을 같이 작성해 놓았으니 따로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ctim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void)
{
    // 헤더 파일에 가보면 'typedef long time_t'로 되어 있습니다. 즉, long과 동일하다고 보면 됩니다.
    time_t curr_time;

    // 시간 표시를 위한 구조체를 선언합니다.
    struct tm *curr_tm;

    // time 함수는 1970년 1월 1일 이후 몇초가 지났는지를 계산합니다. NULL을 인자로 사용합니다.
    curr_time = time(NULL);

    // 지역 시간을 기준으로 변환 및 출력 편의를 위하여 tm 구조체에 저장합니다.(포맷팅)
    curr_tm = localtime(&curr_time);

    //출력 예제
    cout << curr_tm->tm_year + 1900 << "년 " << curr_tm->tm_mon + 1 << "일 " << curr_tm->tm_mday << "일" << endl;     
    cout << curr_tm->tm_hour << "시 " << curr_tm->tm_min << "분 " << curr_tm->tm_sec << "초" << endl << endl;
}

 

예제의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

728x90
728x90
MFC Edit Control 에서 Enter 키 입력 시, 줄바꿈되도록 하기 / 상하좌우 스크롤바

 

이 포스트는 이전 블로그에서 이전된 포스트입니다.

 

 

직접 구현할려고 했더니 아주 간단한 방법이 있었다..

 

아래 두 속성을 TRUE로 바꾸면 끝이다.

(두개 모두 되어야 한다.)

Multiline = True

Want Return = True

 

이제 아래와 같이 엔터키로 줄바꿈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니, 기본적으로 MFC 에디트 컨트롤은 우측으론 쭉 길게쓸 수 있는데 아래로는 저기 보이는 이상으론 추가 입력이 불가능하다.

 

또한 스크롤바가 없어서 불편하다.. 아래와 같은 설정으로 스크롤바 생성을 할 수 있고, 아래로도 추가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uto HScroll = True

Auto VScroll = True

Horizontal Scroll = True

Vertical Scroll = True

 

.

728x90
1···78910111213···21

+ Recent posts